반응형 cpp6 [C++] 정적(static) 변수와 외부(extern) 변수, 분할구현에서의 전역변수 사용 정적변수 & 외부변수 지난 포스트에서 분할 구현을 할 때 전역변수를 사용하면 문제가 생긴다는걸 언급하고 넘어갔다. 이번 포스트에서 전역변수를 대신해 사용할 정적변수와 외부변수에 대해 알아보자. 정적변수(static) 변수를 선언할때 static 을 붙여 선언하면 된다. 전역변수와 마찬가지로 data영역에 변수가 생성되므로 만약 함수내에서 선언 할 경우, 함수가 끝나도 변수의 값이 소실되지 않고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. #include void StaticVariable() { static int a = 0; //최초로 호출될 때 한번만 실행됨. a++; printf("%d\n", a); } void main() { StaticVariable(); StaticVariable(); StaticVariable.. 2023. 2. 7. [C++] 헤더파일을 이용한 분할 구현 헤더파일을 사용하는 이유 공부하는 단계에서 와닿지 않는 이야기지만, 실제 대형 프로젝트에 들어가게 되면 코드의 양이 굉장히 방대해 지기 때문에 코드를 깔끔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고 C/C++의 경우 헤더파일을 사용하여 메인 함수와 구분되는 다수의 헤더파일과 소스파일을 분할 구현한다. 헤더파일 사용 방법 두 정수의 합을 구하는 Add라는 함수를 작성해 보자. 헤더파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#include int Add(int a, int b); void main() { int a = 1; int b = 2; int sum = Add(a, b); printf("%d", sum); } int Add(int a, int b) { return a + b; } 그나마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함수 선언 ->.. 2023. 2. 7. 이전 1 2 다음 반응형